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공심장박동기 mode 별 특성 및 적응증

by 굿트래블러 2023. 10. 1.

인공심장박동기는 여러 가지 type이 있습니다. 어떤 type의 인공심장박동기를 사용할지 여부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합니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DDD type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심방세동을 경우에는 VVI type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공심장박동기 분류코드 (NASPE)

순서 I II III IV
분류 조율부위 감지부위 감지반응형 심박수 반응기능
기호 O(없음) O(없음) O(없음) O(없음)
A(심방) A(심방) T(방출형) R (심박반응형)
V(심실) V(심실) I(억제형)
D( A + V) D( A + V) D (T + I)

 

AAI(Atrial pacing, Atrial sensing, Inhibited by atrial event)

전극선이 우심방에 위치하여 심방을 감지하고 조율합니다. 심박의 박동을 감지하였다가 설정된 박동 수조다 본인의 박동수가 빠를 경우에는 조율을 하지 않고 설정된 박동 수보다 느린 경우에 조율합니다.

적응증 : 동기능 부전증(방실 차단이 없는 경우)

 

VVI(Ventricle pacing, ventricle sensing, Inhibited by ventricular event)

전극선이 우심실에 위치하며 심실을 감지하고 조율합니다. 심실의 박동을 감지하였다가 설정된 박동수보다 본인의 심실 박도수다 바를 경우에는 조율하지 않고 설정된 박동수보다 느릴 경우에는 조율합니다. 단점으로는 심방과 심실 수축의 조화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적응증 : 심방세동

 

VDD (Ventricular pacing, Dual chamber sensing, Dual chamber function : inhibited and triggered)

DDD형과 유사하나 심방에 대한 조율은 하지 않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심방에 대해서는 감지만 하여 심실을 조율하게 됩니다. 심방수축 후 환자 본인의 심실 박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심실을 조율하게 되고 본인의 심실박동이 감지되면 박동기는 inhibition기능을 합니다.

적응증 : 완전 방실차단 (동율동이 정상인 경우)

 

DDD (Dual chamber pacing, Dual chamber sensing, Dual function : Inhibited and rtiggered)

전극선이 심방과 심실에 각각 삽입되어 심방과 심실 모두를 감지하고 조율합니다. 최저 조율 수와 최고조율수를 설정하게 되는데 , 예를 들어 환자 자신의 심박동 수가 최저 조율 수 보다 느린 경우 심방동수가 심실을 순차적으로 조율하여 방실 수축의 조화를 유지하게 합니다.

또한 DDD mode에서는 방실간격(AV interval 또는 AV delay)을 설정하여 심방의 박동을 감지한 후 적당한 간격을 두어 심실을 조율하게 됩니다.

적응증 : 완전 방실차단, 동기능 부전증